게시판
영농성공사례
19-02-10 유기생명농법 - PLS 대응 해충진단 및 방제기술 (4/5)
16. 산마늘
(1) 도둑나방
①형태 ? 전체가 회갈색~흑갈색이고 앞날개에 흑백의 복잡한 무늬가 있음. 유충은 잎을 먹으면서 녹색 또는 흑녹색이 됨. 노숙유충 머리는 담록~황갈색이고 몸은 회혹색에 암갈색 반점이 많음. 개체간 색 변이가 심하며, 봄~여름에는 암갈색, 가을에는 혹색이 많음.
②생태 ? 번데기로 월동하고 1회 성충은 4~6월 , 2회 성충은 8~9월에 발생하고 유충기간은 40~45일임. 성충은 해질 무렵부터 활동하여 낮에는 마른 잎 사이에 숨고, 유충은 낮에 땅속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 활동하며 집단으로 활동하나 크면서 분산함.
③피해 ? 유충은 잎맥만 남기고 먹으며 결구되는 채소의 경우 식물 속으로 파고들어 가해하고 잡식성으로 여러 작물을 가해함.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 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이 허용물질들은 도둑나방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격파골드, 충무로로 방제된 사례가 많음.
(2) 좀남색잎벌레
①형태 ? 몸길이 5~6mm정도의 소형 잎벌레임. 몸은 전체적으로 긴 타원형 모양이고 푸른빛을 띠는 검은색이며 등쪽은 광택이 있는 남색을 띠고 세로줄 모양의 점각 무늬가 많음.
②생태 ?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하며, 어른벌레로 월동함. 월동이 끝난 어른벌레는 이듬해 4~5월경에 깨어나 소리쟁이, 수영, 여뀌 등의 잎을 먹음. 애벌레는 무리지어 생활하고 번데기가 되기 직전 땅속으로 들어감.
③피해 ? 유충의 무리가 잎을 갉아먹으며 피해를 주고 소리쟁이류, 수영 등 초본류를 가해함.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고삼과 비티는 좀남색잎벌레에 대한 살충력은 시험된 바 없으나 배추벼룩잎벌레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청쓸이와 비티력의 혼용, 교호 살포를 권장함.
17. 수수 , 조
(1) 애긴노린재
①형태 ? 성충의 길이는 3.5~5.5mm로 매우 작고, 색깔은 황갈색 또는 회황색 바탕에 불규칙한 흑갈색 무늬가 있음. 머리는 앞끝이 뿔처럼 뭉툭하게 돌출하였고, 후반부에는 흑갈색 점각 무늬가 나타남.
②생태 ? 연 3세대 발생하고 세대별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4월 중순, 6월 중순, 8월 하순이며 8월 하순~9월 중순경에 가장 발생량이 많음. 암컷은 이삭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 과 성충은 이삭의 갈라진 틈과 위쪽 잎에서 생활함.
③피해 ? 조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약충이 군집하여 살면서 집중적으로 이삭을 흡즙 하고 피해 받은 이삭은 검게 변하여 수량과 품질을 떨어 뜨리며 2차적으로 이삭곰팡이 병이 발생함.
④방제 ? 애긴노린재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이 있는데 흑다리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등에 효과적인 충격파골드와 청쓸이의 혼용 살포를 권장함.
18. 쑥
(1) 쑥꼬마수염진딧물
①형태 ? 무시충 암컷의 길이는 2.3~3.2mm이며 녹색과 적색으로 더듬이, 다리, 뿔관, 등은 검은색이며 몸에 백색 가루가 있음.
②생태 ? 국화과인 쑥류에 폭넓게 서식하며, 기주 이동 없이 완전세대를 거치고 생태에 관해서 알려진 바가 없음.
③피해 ? 주로 봄과 가을에 발생하며, 봄에는 새로운 가지, 잎, 줄기 등에 기생하여 흡즙/가해하기 때문에 신엽의 전개가 불완전하고 줄기의 생육이 정지됨.
④방제 ? 진딧물류 해충은 증식력이 높기 때문에 예찰을 통한 초기 방제가 중요하며, 진딧물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 식물추출물과 난황유가 있음. 쑥꼬마수염진딧물에 대한 살충력은 시험된 바 없으나, 목화진딧물, 복숭아혹 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등의 진딧물류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기 때문에 충격파골드와 총채적의 혼용 및 교호를 권장함.
19. 아피오스
(1) 클로버잎벌레
①형태 ? 몸길이 4~5mm로 앞가슴, 머리는 적갈색이고 배판과 더듬이는 흑색, 흑갈색임. 다리는 암갈색이며 종아리마디는 황갈색이고, 앞날개는 흑색 바탕에 황색 무늬를 가지고 있음.
②생태 ? 알로 식물체 뿌리나 근경에서 월동하며 5월 상순경에 부화하고 1회 성충 발생최성기는 7월 중순, 2회는 8월 하순~9월 상순이며, 월동은 9월 하순~10월 상순부터 시작함. 알로 7.5일, 번데기로 16.7일, 성충으로 30일 정도 생활함.
③피해 ? 성충이 주로 클로버를 가해하나 무, 배추, 콩, 들깨 등의 잎을 가해하기도 함. 아피오스에서도 7월 중하순부터 발생하여 재배 후기까지 잎을 식해하고 많은 구멍을 내는 피해를 입힘.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고삼과 비티제는 클로버잎벌레에 대한 살충력은 시험된 바 없으나 배추벼룩잎벌레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청쓸이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20. 오미자
(1) 식나무깍지벌레
①형태 ? 흰색 또는 회백색으로 암컷은 뒤쪽을 향해 부채 모양으로 넓어진 둥근 모양이고 뽕나무깍지벌레에 비해 방추형으로 약간 길고, 수컷은 유충기에 1.2mm정도의 길쭉한 흰 막대모양이나 다 자라면 1쌍의 투명한 날개가 달림.
②생태 ? 5월 하순과 8월 상순이 알과 약충의 발생최성기이며, 부화약충은 근처를 기어 다니다가 가지나 줄기의 적당한 부분에 고착함. 부화 2주 후에 1회 탈피하며 밀납을 분비하 여 암수가 각기 다른 모양의 깍지를 형성함. 이후 2회 탈피를 하고 번데기가 되며 6월 에는 성충이 되어 알을 낳음. 교미 후 수컷은 죽고 암컷은 월동함.
③피해 ? 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 가지, 줄기에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 먹고, 잎 뒷면에서 가해하면 앞면에 노랗게 변한 무늬가 나타나며 밀도가 높을 경우 잎 뒷면이 마치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이 보임.
④방제 ? 깍지벌레류 해충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기계유유제, 천연유화제 등이 있으나, 식나무깍지벌레에 시험된 바는 없음. 일반 기계유유제보다 약리 활성 효과가 높은 청쓸이와 구양근의 혼용으로 방제를 권장함.
21. 자두 , 살구
(1) 벚나무깍지벌레
①형태 ? 암컷 성충의 깍지는 직경이 2.0~2.5mm로 넓은 원형이며 백색~회백색임. 깍지 밑의 몸은 황색이고, 수컷 성충의 깍지 길이는 1.0mm로 백색이며 가늘고 알은 타원형임.
②생태 ? 연 3회 발생하며 수태한 암컷 성충으로 월동함. 월동 성충은 4월 중순부터 산란하기 시작하며 제 1세대 약충은 5월 중순, 제 2세대 약충은 7월 중순, 제3세대 약충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에 출현함. 갓 부화한 약충은 활발히 기어다니며 기주식물로 분산함.
③피해 ? 잎, 가지 또는 과실에도 기생하여 즙액을 빨고 보통은 가지에 무리지어 발생하여 가지를 말라 죽게 함. 흰색의 비늘이 빽빽하게 붙어 있는 듯이 보여 쉽게 구별됨. 2 차적으로 갈색고약병을 유발시킴.
④방제 ? 깍지벌레류 해충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기계유유제, 천연유화제 등이 있으나, 식나무깍지벌레에 시험된 바는 없음. 일반 기계유유제보다 약리 활성 효과가 높은 청쓸이와 구양근의 혼용으로 방제를 권장함.
22. 참나물
(1) 네눈쑥가지나방
①형태 ? 앞날개의 길이는 약 39mm이고, 수컷의 더듬이는 섬모 모양, 암컷은 실 모양임. 날개는 회색으로 암갈색 점이 산재해 있음. 색채 변이가 많음.
②생태 ? 알-유충(6령)-번데기-성충 순으로 발육하며, 흙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함. 성충은 5월 상순부터 9월 중순까지 연간 3~4회 발생하는데, 발생량은 3회째가 많음. 우화 1~3일 후 암컷 성충은 수백개의 알을 무더기로 식물체 위나 토양의 틈에 산란함. 성충은 주광성임.
③피해 ? 부화유충은 매우 활발하고 분산하여 엽육을 먹으며 잎에 작은 구멍을 내며 식해함 . 더 성장하면 잎의 가장자리에서 일부 엽맥을 남기고 잎을 전부 갉아 먹고, 새 잎을 좋아함.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이 허용물질들은 네눈쑥가지나방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무로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23. 참당귀
(1) 산호랑나비
①형태 ?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10cm정도이며, 어린유충은 흑색~흑녹색이고, 흰무늬가 있어 새똥처럼 보임. 4~5령이 되면 청록~흑색, 황록색의 띠가 교대로 배열되어 색이 곱고 유충을 건드리면 등쪽에서 노란 돌기가 튀어나오며 특유의 냄새를 방출함.
②생태 ? 연 2~3세대 발생하나 번데기 기간이 일정하지 않아 발생이 불규칙함. 남부지역에서는 4세대를 경과할 가능성도 있음. 번데기로 월동하며 월동세대의 성충은 4~5월에 나타 나고 , 6~7월과 8~9월에 성충이 발생함, 성충은 낮 동안 잎에 한개씩 산란함.
③피해 ? 어린유충은 섭식량이 적으나 성장하면서 섭식량이 많아져 줄기만 남기고 잎을 갉아 먹으며 유충은 잎과 어린 줄기를 잘 먹지만 꽃술도 식해함, 보통 발생량은 많지 않으며 주로 산간지에서 피해가 많음.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BT가 있음. 이 허용물질들은 참당귀의 산호랑나비을 대상으로 시 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무로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2) 애기잎말이나방
①형태 ? 앞날개 기부와 끝 부위에 선명한 흑갈색 무늬가 있음. 전연 중앙에서 날개 끝까지 암색부가 있으며 나머지는 흰색임. 아랫 입술 수염은 회갈색이고 가운데 마디의 끝이 넓음.
②생태 ? 여름 고온기인 7~8월에 성충 발생량이 많으나 국내에서의 발생 생태는 밝혀져 있지 않고 일본에서는 년 5회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강원도와 경북의 산간 지역에서는 7월 하순에 성충 발생이 많음. 흙속의 고치 안에서 유충으로 월동함.
③피해 ? 유충은 잎자루 기부와 줄기 사이로 침입하여 줄기와 잎자루를 심식하며 밖으로 배설 물을 내므로 피해 부위는 배설물로 인해 지저분함. 개화 전에는 유충이 꽃봉오리에 침입하여 내부를 가해하기도 하며 꽃을 실로 묶고 가해하다가 꽃대 속을 파먹어 들어감.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BT가 있음 . 이 허용물질들은 애기잎말이나방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무로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1) 도둑나방
①형태 ? 전체가 회갈색~흑갈색이고 앞날개에 흑백의 복잡한 무늬가 있음. 유충은 잎을 먹으면서 녹색 또는 흑녹색이 됨. 노숙유충 머리는 담록~황갈색이고 몸은 회혹색에 암갈색 반점이 많음. 개체간 색 변이가 심하며, 봄~여름에는 암갈색, 가을에는 혹색이 많음.
②생태 ? 번데기로 월동하고 1회 성충은 4~6월 , 2회 성충은 8~9월에 발생하고 유충기간은 40~45일임. 성충은 해질 무렵부터 활동하여 낮에는 마른 잎 사이에 숨고, 유충은 낮에 땅속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 활동하며 집단으로 활동하나 크면서 분산함.
③피해 ? 유충은 잎맥만 남기고 먹으며 결구되는 채소의 경우 식물 속으로 파고들어 가해하고 잡식성으로 여러 작물을 가해함.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 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이 허용물질들은 도둑나방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격파골드, 충무로로 방제된 사례가 많음.
(2) 좀남색잎벌레
①형태 ? 몸길이 5~6mm정도의 소형 잎벌레임. 몸은 전체적으로 긴 타원형 모양이고 푸른빛을 띠는 검은색이며 등쪽은 광택이 있는 남색을 띠고 세로줄 모양의 점각 무늬가 많음.
②생태 ?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하며, 어른벌레로 월동함. 월동이 끝난 어른벌레는 이듬해 4~5월경에 깨어나 소리쟁이, 수영, 여뀌 등의 잎을 먹음. 애벌레는 무리지어 생활하고 번데기가 되기 직전 땅속으로 들어감.
③피해 ? 유충의 무리가 잎을 갉아먹으며 피해를 주고 소리쟁이류, 수영 등 초본류를 가해함.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고삼과 비티는 좀남색잎벌레에 대한 살충력은 시험된 바 없으나 배추벼룩잎벌레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청쓸이와 비티력의 혼용, 교호 살포를 권장함.
17. 수수 , 조
(1) 애긴노린재
①형태 ? 성충의 길이는 3.5~5.5mm로 매우 작고, 색깔은 황갈색 또는 회황색 바탕에 불규칙한 흑갈색 무늬가 있음. 머리는 앞끝이 뿔처럼 뭉툭하게 돌출하였고, 후반부에는 흑갈색 점각 무늬가 나타남.
②생태 ? 연 3세대 발생하고 세대별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4월 중순, 6월 중순, 8월 하순이며 8월 하순~9월 중순경에 가장 발생량이 많음. 암컷은 이삭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 과 성충은 이삭의 갈라진 틈과 위쪽 잎에서 생활함.
③피해 ? 조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약충이 군집하여 살면서 집중적으로 이삭을 흡즙 하고 피해 받은 이삭은 검게 변하여 수량과 품질을 떨어 뜨리며 2차적으로 이삭곰팡이 병이 발생함.
④방제 ? 애긴노린재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이 있는데 흑다리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등에 효과적인 충격파골드와 청쓸이의 혼용 살포를 권장함.
18. 쑥
(1) 쑥꼬마수염진딧물
①형태 ? 무시충 암컷의 길이는 2.3~3.2mm이며 녹색과 적색으로 더듬이, 다리, 뿔관, 등은 검은색이며 몸에 백색 가루가 있음.
②생태 ? 국화과인 쑥류에 폭넓게 서식하며, 기주 이동 없이 완전세대를 거치고 생태에 관해서 알려진 바가 없음.
③피해 ? 주로 봄과 가을에 발생하며, 봄에는 새로운 가지, 잎, 줄기 등에 기생하여 흡즙/가해하기 때문에 신엽의 전개가 불완전하고 줄기의 생육이 정지됨.
④방제 ? 진딧물류 해충은 증식력이 높기 때문에 예찰을 통한 초기 방제가 중요하며, 진딧물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 식물추출물과 난황유가 있음. 쑥꼬마수염진딧물에 대한 살충력은 시험된 바 없으나, 목화진딧물, 복숭아혹 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등의 진딧물류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기 때문에 충격파골드와 총채적의 혼용 및 교호를 권장함.
19. 아피오스
(1) 클로버잎벌레
①형태 ? 몸길이 4~5mm로 앞가슴, 머리는 적갈색이고 배판과 더듬이는 흑색, 흑갈색임. 다리는 암갈색이며 종아리마디는 황갈색이고, 앞날개는 흑색 바탕에 황색 무늬를 가지고 있음.
②생태 ? 알로 식물체 뿌리나 근경에서 월동하며 5월 상순경에 부화하고 1회 성충 발생최성기는 7월 중순, 2회는 8월 하순~9월 상순이며, 월동은 9월 하순~10월 상순부터 시작함. 알로 7.5일, 번데기로 16.7일, 성충으로 30일 정도 생활함.
③피해 ? 성충이 주로 클로버를 가해하나 무, 배추, 콩, 들깨 등의 잎을 가해하기도 함. 아피오스에서도 7월 중하순부터 발생하여 재배 후기까지 잎을 식해하고 많은 구멍을 내는 피해를 입힘.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고삼과 비티제는 클로버잎벌레에 대한 살충력은 시험된 바 없으나 배추벼룩잎벌레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청쓸이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20. 오미자
(1) 식나무깍지벌레
①형태 ? 흰색 또는 회백색으로 암컷은 뒤쪽을 향해 부채 모양으로 넓어진 둥근 모양이고 뽕나무깍지벌레에 비해 방추형으로 약간 길고, 수컷은 유충기에 1.2mm정도의 길쭉한 흰 막대모양이나 다 자라면 1쌍의 투명한 날개가 달림.
②생태 ? 5월 하순과 8월 상순이 알과 약충의 발생최성기이며, 부화약충은 근처를 기어 다니다가 가지나 줄기의 적당한 부분에 고착함. 부화 2주 후에 1회 탈피하며 밀납을 분비하 여 암수가 각기 다른 모양의 깍지를 형성함. 이후 2회 탈피를 하고 번데기가 되며 6월 에는 성충이 되어 알을 낳음. 교미 후 수컷은 죽고 암컷은 월동함.
③피해 ? 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 가지, 줄기에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 먹고, 잎 뒷면에서 가해하면 앞면에 노랗게 변한 무늬가 나타나며 밀도가 높을 경우 잎 뒷면이 마치 밀가루를 뿌려 놓은 듯이 보임.
④방제 ? 깍지벌레류 해충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기계유유제, 천연유화제 등이 있으나, 식나무깍지벌레에 시험된 바는 없음. 일반 기계유유제보다 약리 활성 효과가 높은 청쓸이와 구양근의 혼용으로 방제를 권장함.
21. 자두 , 살구
(1) 벚나무깍지벌레
①형태 ? 암컷 성충의 깍지는 직경이 2.0~2.5mm로 넓은 원형이며 백색~회백색임. 깍지 밑의 몸은 황색이고, 수컷 성충의 깍지 길이는 1.0mm로 백색이며 가늘고 알은 타원형임.
②생태 ? 연 3회 발생하며 수태한 암컷 성충으로 월동함. 월동 성충은 4월 중순부터 산란하기 시작하며 제 1세대 약충은 5월 중순, 제 2세대 약충은 7월 중순, 제3세대 약충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에 출현함. 갓 부화한 약충은 활발히 기어다니며 기주식물로 분산함.
③피해 ? 잎, 가지 또는 과실에도 기생하여 즙액을 빨고 보통은 가지에 무리지어 발생하여 가지를 말라 죽게 함. 흰색의 비늘이 빽빽하게 붙어 있는 듯이 보여 쉽게 구별됨. 2 차적으로 갈색고약병을 유발시킴.
④방제 ? 깍지벌레류 해충 방제에 사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기계유유제, 천연유화제 등이 있으나, 식나무깍지벌레에 시험된 바는 없음. 일반 기계유유제보다 약리 활성 효과가 높은 청쓸이와 구양근의 혼용으로 방제를 권장함.
22. 참나물
(1) 네눈쑥가지나방
①형태 ? 앞날개의 길이는 약 39mm이고, 수컷의 더듬이는 섬모 모양, 암컷은 실 모양임. 날개는 회색으로 암갈색 점이 산재해 있음. 색채 변이가 많음.
②생태 ? 알-유충(6령)-번데기-성충 순으로 발육하며, 흙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함. 성충은 5월 상순부터 9월 중순까지 연간 3~4회 발생하는데, 발생량은 3회째가 많음. 우화 1~3일 후 암컷 성충은 수백개의 알을 무더기로 식물체 위나 토양의 틈에 산란함. 성충은 주광성임.
③피해 ? 부화유충은 매우 활발하고 분산하여 엽육을 먹으며 잎에 작은 구멍을 내며 식해함 . 더 성장하면 잎의 가장자리에서 일부 엽맥을 남기고 잎을 전부 갉아 먹고, 새 잎을 좋아함.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비티가 있음. 이 허용물질들은 네눈쑥가지나방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무로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23. 참당귀
(1) 산호랑나비
①형태 ?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10cm정도이며, 어린유충은 흑색~흑녹색이고, 흰무늬가 있어 새똥처럼 보임. 4~5령이 되면 청록~흑색, 황록색의 띠가 교대로 배열되어 색이 곱고 유충을 건드리면 등쪽에서 노란 돌기가 튀어나오며 특유의 냄새를 방출함.
②생태 ? 연 2~3세대 발생하나 번데기 기간이 일정하지 않아 발생이 불규칙함. 남부지역에서는 4세대를 경과할 가능성도 있음. 번데기로 월동하며 월동세대의 성충은 4~5월에 나타 나고 , 6~7월과 8~9월에 성충이 발생함, 성충은 낮 동안 잎에 한개씩 산란함.
③피해 ? 어린유충은 섭식량이 적으나 성장하면서 섭식량이 많아져 줄기만 남기고 잎을 갉아 먹으며 유충은 잎과 어린 줄기를 잘 먹지만 꽃술도 식해함, 보통 발생량은 많지 않으며 주로 산간지에서 피해가 많음.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BT가 있음. 이 허용물질들은 참당귀의 산호랑나비을 대상으로 시 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무로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2) 애기잎말이나방
①형태 ? 앞날개 기부와 끝 부위에 선명한 흑갈색 무늬가 있음. 전연 중앙에서 날개 끝까지 암색부가 있으며 나머지는 흰색임. 아랫 입술 수염은 회갈색이고 가운데 마디의 끝이 넓음.
②생태 ? 여름 고온기인 7~8월에 성충 발생량이 많으나 국내에서의 발생 생태는 밝혀져 있지 않고 일본에서는 년 5회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강원도와 경북의 산간 지역에서는 7월 하순에 성충 발생이 많음. 흙속의 고치 안에서 유충으로 월동함.
③피해 ? 유충은 잎자루 기부와 줄기 사이로 침입하여 줄기와 잎자루를 심식하며 밖으로 배설 물을 내므로 피해 부위는 배설물로 인해 지저분함. 개화 전에는 유충이 꽃봉오리에 침입하여 내부를 가해하기도 하며 꽃을 실로 묶고 가해하다가 꽃대 속을 파먹어 들어감.
④방제 ? 나방류 해충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는 고삼, 님, 데리스, 제충국 등과 곤충병원성미생물인 BT가 있음 . 이 허용물질들은 애기잎말이나방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좀나방, 옥수수들명나방 등 나방류 해충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충무로와 비티력의 혼용살포를 권장함.
FM AGTECH
·
2019-02-10 14:15
·
조회 512